정신분석은 프로이드가 히스테리아(hysteria) 환자들을 치료하게 되면서 탄생하게 되어 이후에 학문이자 치료 기법으로써 진화를 거듭해왔다. 히스테리아 환자들은 생리적으로 이상이 없으면서도 심리적으로 이상 증세를 보이는 오늘 날에 신경증 환자들에 해당된다. 히스테리아(hysteria)라는 용어는 오늘 날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히스테리아는 미국에서 1980년에 DSM-Ⅲ(정신장애에 대한 통계와 진단 분류 지침서)가 출판되면서 전환 장애, 상처후 스트레스 상애, 신체화 장애, 히스트로릭 성격장애로 세분화 되어지면서 역사에서 사라졌다.
정신분석학과 정신분석 치료는 신경증 환자들 중에서 강박사고 강박행동 즉 강박증, 공포증, 변태성욕 환자들의 핵심 치료 기법으로 20세기 초반기부터 자리를 잡았다. 프로이드의 사례 연구 논문들은 늑대인간(Wolfman), 쥐 인간(Ratman) 등은 공포증, 강박증을 이론적으로 풀어 치료를 하면서 설명한 논문으로 공포증과 강박증의 치료 기법으로 등장을 했고 리들 한(Little Hans)의 논문은 5세 된 어린이의 "말 공포증"을 치료한 논문이었다. 이후에 호모섹스 환자들과 변태성욕 환자들의 이론적 설명과 치료 기법으로그리고 멜랑꼴리아 즉 심한 우울증에 대한 치료 논문들이 등장해서 이들을 이론화하면서 치료 기법화 했다.
신경증(neurosis) 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까지는 등장하지 않았다. 프랑스에서 신경 쇠약 증세 즉 neurasthenia 이라는 용어를 번번이 사용해 오다가 이 용어가 1960년 대 후반기에 신경증(neurosis)과 정신증(psychosis)으로 구분되어 사용되어지면서 신경증이라는 용어가 본격적 사용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 날의 용어 개념으로 볼 때 정신분석학은 신경증 증세 중에서 불안증 즉 불안장애의 치료로써 20세기 초반기와 중반기까지 적합하게 되었다. 불안증 즉 불안 장애의 세부 분류로써 공황 장애, 광장 공포증, 강박증(강박사고 강박행동 증), 특수 공포증(뱀 공포증 등), 대인 공포증, 상처후 스트레서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일반화된 불안장애 등의 치료에서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다.
프로이드는 나르시즘 환자, 정신증 환자들은 전이가 형성되지 않아서 정신분석 치료가 되지 않는다고 제시하면서 이들 환자들을 정신분석 치료에서 제외 시켰다. 그러나 1940년 대 후반기에 많은 정신분석학자들이 고전적 정신분석 치료 기법에서 일부 수정을 통해서 다른 심각한 정신증 환자 즉 정신분열증, 보드라인 성격장애, 나르시즘 성격장애들 즉 정신증 환자들도 전이가 형성될 수 있다는 주장으로 "전이 신경증"과 "전이 정신증"을 구분하는 용어를 개발해서 후자를 정신증 환자의 정신분석 치료 용어로써 사용하게 되었다. 심한 성격장애 즉 보드라인 성격장애, 나르시즘 성격장애 그리고 정신분열증, 자폐증 들을 치료하는 정신분석가들이 늘어남에 따라서 심각한 정신증 환자들에게 정신분석 치료를 사용해서 좋은 치료 성과를 올리는 연구 보고서들이 1970년데 이후에 쏟아져 나오게 되었다. 정신분열증 환자들을 성공적으로 치료해 온 샌트란시스코의 정신분석학교 교수인 보이어(Boyer), 일리노이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이자 정신분석 학자인 지오나치니(Giovacchini), 버지니아 의과 대학 정신과 교수이자 정신분석학자인 발칸(Volkan), 미국에서 최초로 정신분석을 사용해서 병원에 입원한 정신분열증 환자들을 치료하기 시작한 체스트 낫 롯지 정신병원에서 35년 동안 정신분열증 환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해 온 하놀드 실(Searles), 샌프란시스코 정신분석학교 교수인 토마스 오가덴(Thomas Ogden) 등이 선두에서 서서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한 정신분석 치료 기법만을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치료에 적용해서 성공적으로 정신분열증 환자들을 치료한 사례 연구 보고서들을 쏟아냈다. 이들 학자들은 주장을 하기를 프로이드가 20세기 초반기에 치료한 히스트레이 환자들은 엄격히 말해서 오늘 날 심한 성격장애, 혹은 망상증 환자들에 가깝다고 주장을 하고 있다. 단순히 신경증 환자들은 아니었다고 반박을 하고 있다. 고로 정신분석 치료는 신경증 환자들 뿐만 아니라 정신증 환자들에게 그리고 모든 심리적인 문제들을 가진 환자들의 치료 기법으로 타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신경증 이론에 대한 더욱 상세한
내용을 알고 싶은 사람은 다음의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세요.